부동산과 경제(13)
-
#11월 FED 테이퍼링 선언과 금리인상?
즐겨찾는 자유지성님의 유튜브 채널에서 FOMC 연설을 들으며 내용을 정리해봤다. 11월 초 파월의장의 테이퍼링 선언을 통해 우리 언론은 금리인상에 대한 내용을 기사로 내보내며 내년엔 금리인상으로 대출이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질 것이라며 공포심을 조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테이퍼링의 뜻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다. #테이퍼링? 정부가 코로나라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양적 완화 즉 자산을 매입해 시장에 돈을 뿌리는 통화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전략이다. 결국 테이퍼링이라는 것은 코로나 이후 도입한 월 800억 달러의 국채와 월 400억 달러의 주택저당증권 매입의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것이다. 돈을 찍어내는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의미이지 시장에 통화를 공급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리고 연설에서 이..
2021.11.26 -
#경상남도 김해시 feat. 월급쟁이의 첫 부동산 공부
1. 인구 #시/도구/군읍/면/동인구전월대비 2021년 9월 1 경상남도 김해시 내외동 73,427 89 감소 ▼ 2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5,769 37 감소 ▼ 3 경상남도 김해시 동상동 9,687 32 감소 ▼ 4 경상남도 김해시 부원동 9,858 11 감소 ▼ 5 경상남도 김해시 북부동 80,120 58 감소 ▼ 6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7,559 20 감소 ▼ 7 경상남도 김해시 삼안동 32,817 108 감소 ▼ 8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3,147 12 증가 ▲ 9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면 3,802 5 증가 ▲ 10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1동 56,961 46 감소 ▼ 11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2동 36,250 42 감소 ▼ 12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3동 72,774 87 감소 ▼ 13 경..
2021.10.20 -
#월급쟁이의 첫 부동산 공부- 6장. 상승 흐름별 부동산 투자법
1. 바닥 다지기 구간 부동산에 투자하려고 할 때 바닥 다지기 구간은 데이터로 포착이 어렵다. 현장에서는 어느정도 유추가 가능하다. 한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는 보합인데, 전세가가 상승한다거나, 전세수요가 많아 전세가 시장에 많지 않다면 바닥 다지기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미래의 공급 물량인 인허가 물량, 입주 물량, 미분양 물량과 과거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미래에 상승하게 되면 대장급 아파트가 가장 먼저 오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1군 아파트에 투자하는게 좋다. 2. 상승 초기 거래량이 일부 아파트를 중심으로 국부적으로 증가하며, 심리(매수자 많음)가 눈에 띄지는 않지만 소폭 반등하기 시작한다. KB시계열의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제로나 아주 미약하게 상승한다. 하락하다가 보합..
2021.10.14 -
자본증식의 열쇠
"자본이 스스로 증식해 얻은 소득이 노동으로 벌어들이는 소득보다 항상 우위에 있기 때문에 소득격차가 점점 더 벌어진다." - 토마 피케티 자본이 일하는 방법은 안전자산인 부동산이다. 통화량증가와 집값상승은 그 괘를 같이하고 있다. 1995년 2월 5일 기사 1995년에도 전세금끼고 대출받아 아파트장만을 한 사례들이 나온다. "비싼 전세금을 무는 대신 다소 무리를 해서라도 내집마련에 나서는 맞벌이 부부들이 늘고있다. 전세금을 안고 모자라는 집값은 은행돈을 얻어 내집을 마련하는 방법이 신세대 부부들의 홈테크로 등장, 넓게 확산되고 있다. " "그 당시의 목동 20평이하 아파트 한채는 9천 8백만원으로 기존 전세금 2천 5백만원과 예금 2천만원 총 4천 2백만원에 2천 4백만원 대출을 받아 구입했다." ---..
2021.10.13 -
디레버리징 - 오늘의 경제용어
디레버리징은 부채를 축소하는 것을 말한다. 미시 경제 축면에서 보면, 가계나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의 대차대조표에서 부채의 비중을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경기가 호황일 때는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수익성이 높은 곳에 투자해 빚을 상환하고도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레버리지가 효과적인 투자기법이 된다.
2021.10.03 -
디딤돌대출 #예상대출조회
안녕하세요 오늘은 디딤돌 대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디딤돌 대출가능 금액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https://www.hf.go.kr/hf/sub01/sub01_02_01.do 으로 들어가셔서 본인 상황에 맞는 금액을 넣고 조회를 해보시면 됩니다. 아주 정확한 내용은 실제로 대출받고자하는 은행 (국민, 기업, 농협, 신협, 신한, 우리)에서 신청하시면 정확한금액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심사시 제출서류(공사 관할지사) - 배우자 신분증 및 배우자용 제공정보 동의서(배우자 온라인 정보제공 동의 시 생략) - 주민등록등복(행정정보공동이용 사전동의 시 제출 생략) - 소득증빙 및 재직확인 서류(상품소개 메뉴의 상품별 소득증빙방법 참고) - 부동산 매매계약서 또는 분양계약서 사본(소유권 이전등기일로부터 ..
2021.07.12